SCM

입출고관리

JAY_WAY 2021. 9. 4. 23:32

입고관리

(1) 입고의 개념

입고는 발주, 작업 지시 또는 필요에 의해 정해진 보관 위치로 납품되는 절차를 말한다. 입고 관리란 지정된 보관 장소인 창고에 물품을 넣고 적치하는 입고 업무를 계획하고 통제하는 활동이다.

 

(2) 입고업무 프로세스 및 입고활동

  1. 구매/주문 요청 : 구매계획에 따라 구매부서에서 공급 협력사에 발주
  2. 입고 통보 접수 : 발주 품목에 대한구매 부서와 협력사로부터 입고 통보
  3. 입고 계획 수립 : 입고 수량, 작업 방법, 작업 담당자, 검사 방법, 창고 적치위치 등을 계획
  4. 입하, 하차 운반 : 물품을 실은 차량이 창고로 들어온 후, 차량에서 물품을 내리는 활동으로 대기 및 작업시간 단축을 위한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
  5. 검사(검품, 검수) : 검사는 수량을 확인하는 검수와 품질을 검사하는 검품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합격/불합격으로 결과 판정
  6. 입고 지시 : 검사 결과 합격되면 입고를 지시하며, 입고 지시는 품목별 수량, 적치 위치(로케이션), 작업 방법, 유의 사항 등이 포함
  7. 운반, 입고 적치 : 입고 적치된 물품은 재고가 되며, 재고 관리 대상이 됨.
  8. 입고 마감 : 품목별 수량, 적치 위치(로케이션), 특이 사항 등을 기록 보고하고 마감 처리를 하여 입고 작업을 완료

출고 관리

(1) 출고의 개념

출고란 '창고'에서 물품을 꺼낸다'는 뜻으로, 재고를 출고지시서를 근거로 꺼내는 작업을 말한다. 출고 관리란 지정된 보관 장소인 창고에서 물품을 피킹, 분류, 검사, 출하하는 출고 업무를 계획하고 통제하는 활동이다.

 

(2) 출고업무 프로세스 및 출고활동

  1. 주문/출하 요청 : 내부 부서나 고객으로부터 주문 출고 요청이 접수되며, 주요 내용은 품목, 수량, 출고 단위 ,일정(납기), 출고 장소 등이 있다.
  2. 주문 마감 집계 : 주문, 출하 요청을 받고 마감하여 주문량을 거래처별, 품목별로 집계한다.
  3. 출고 계획 수립 : 고객별, 거래처별, 품목별로 집계한 주문 현황을 기준으로 품명, 품목 코드, 출고단위, 필요량, 출고량, 과부족, 로케이션 위치 번호, 배부할당, 출고 방법, 주의사항, 특기사항 등을 기록한 출고 계획을 수립한다.
  4. 출고 단위는 고객 요구 및 거래단위 조건데 따라 달라지며, 크게 팰릿(파레트)/박스/낱개(피스) 단위로 구분되고, 이에 따라 피킹/분류/적재 등의 작업이 완전히 달라지게 된다. 
  5. 출고 지시 : 출고 계획에 따라 출고 지시서를 발행하여 출고 담당자에게 출고를 지시하며, 품목별 수량, 재고 위치(로케이션), 작업 방법, 유의 사항 등을 포함한다.
  6. 출고 피킹 : 출고 지시서에 따라 해당 물품을 창고에 보관된 재고에서 골라 꺼내는 활동이며, 고객별/품목별/물품 형태별/규모별 등으로 다양하고 복잡하여 업무처리 효율성이 중요하다.
  7. 분류 : 재고에서 피킹된 물품을 고객별/차량별/지역별/용도별 등으로 구분하여 분류하는 작업으로 병목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분류설비(sorting machine)와 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한다.
  8. 출고 검사 : 피킹 후, 분류된 물품에 대한 검수 또는 검품 등의 검사를 거치며 합격품이 출고된다.
  9. 출하 포장 : 출고 검사를 마친 합격품에 대해 운송 중 손상이 없도록 고객과 약속된 유닛 로드시스템(ULS: Unit Load System) 또는 출하 포장으로 출고한다.
  10. 상차 적재 : 출고된 물품을 출하하기 위하여 차량 등에 싣는 작업이며, 상차 적재는 싣기 쉽고, 거래처에 도착하여 차량으로부터 내리기 쉽게 가까운 거래처 물품을 출입구 가까운 쪽에 싣는다.
  11. 출하 이동 : 출하 상차가 완료되면 목적지별로 출하 전표를 소지하고 출하 이동한다.
  12. 출고 마감 : 출고 완료되면 거래처별로 품목, 수량, 특이사항 등을 기록 보고하고 출고마감 처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