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재고(Inventory)의 정의와 필요성
재고(Inventory)란 현재 직접 사용되고 있지는 않지만 미래의 생산 또는 판매에서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보유하고 있는 자원을 말한다. 재고를 보유함으로써 기업은 고객에 대한 신속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고 고객의 수요변동을 흡수하여 판매활동을 안정시킬 수 있으며, 생산공정 간의 작업흐름을 중단 없이 원활하게 하여 생산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과다한 재고를 보유하게 되면 그와 관련된 금융비용, 보관유지비용 등의 비용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기업의 재고관리(Inventory Management)는 고객에 대한 서비스 수준의 향상, 안정된 생산 활동, 최소의 재고수준 유지 등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 경제적 가치를 지닌 유휴 상태의 자원
- 미래에 사용하기 위해 기업이 준비하여 보관하고 있는 유휴의 원자재, 부품, 재공품, 완제품 및 비품
- 원자재 재고를 보유함으로써 생산활동의 독립적 운영 가능
- 완제품 수요가 불확실한 경우 재고를 통해 제품 수요의 변동폭에 대처
#참고
'유휴 상태'는 자원이 소비되지 않고 남아있는 상태.
'재공품'은 제조하는 과정에 있는 물품.
2. 재고의 종류
- 수송중 재고 : 원자재 공급자에서 생산자의 창고까지 이동 중이거나 생산자의 창고에서 물류거점이나 수요자로 이동 중인 재고
- 투기성 재고 : 재무관리에 초점을 맞추어 비용절감이나 투기를 목적으로 가격이 낮을 때 매입하는 재고 (금, 은, 동과 같은 원자재)
- 안전 재고 : 평균수요와 평균 조달기간을 충족시키기 위한 재고로서 조달기간 동안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재고
- 불용(침몰) 재고 : 재고기간동안 손상, 분실 및 진부화된 재고
3. 재고관리의 목적
재고관리(Inventory Management)는 고객에 대한 납기준수, 생산의 효율성 극대화, 재고수준의 최소화라고 하는 상호 모순되는 세 가지의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합리적인 재고관리시스템의 확립을 목적으로 한다.
- 재고투자나 재고비용의 절감
- 운전자금의 원활화
- 품절 방지를 통한 서비스율 향상
- 매출기회의 창출
- 조업의 안정화
4. 재고관리 비용
- 주문(발주)비용 : 필요한 물품을 외부에서 구입할 때 구매 및 조달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비용
ex. 주문 발송비, 통신비, 물품 수송비, 하역비, 검사비, 입고 비, 통관료 등 - 준비 비용 : 필요한 물품을 외부에서 구입하지 않고, 기업 자체에서 생산할 때 발생하는 비용
ex. 노무비, 설비 및 기기 교체비, 원료 준비비 등 - 재고 유지비용 : 재고 보유 시 발생하는 관리 비용
ex. 창고 사용료, 창고 유지관리비, 보험료, 세금, 이자(재고에 투하된 자금에 대한 기회비용), 진부화 비용 등 - 재고 부족비용 : 구매 요구가 있지만, 재고가 모자라서 판매하지 못함으로써 생기는 손실 비용.
ex. 재고 부족으로 인한 생산중단, 판매기회 손실, 고객 신용 하락
* 총 재고 비용 = 주문비용(준비 비용) + 재고 유지비용 + 재고 부족비용
* 총 재고 비용은 최소화하면서 고객 서비스 수준을 높이는 것이 중요
5. 재고관리 관련 지표
서비스율 : 주문량 대비 납품량으로 산출
→ 납기 내 납품량(액) / 수주량(액) X 100
Back Order율 : 주문량 대비 결품량으로 산출
→ 결품량(액) / 주문량(액) X 100
재고회전율 : 재고 수량을 최소화하여 재고회전율을 높이는 것이 이상적
→ 일정기간의 총매출액 (또는 총소비량) / 평균 재고액 또는 재고량
→ 평균 재고액(량) = 기초 재고액(량) + 기말 재고액(량) / 2
일평균 재고액 = 재고 합계액 / 수요(출고) 일수
재고일 수 = 현재 재고량(액) / 월평균 출하량(액) X 30일
재고 유지비 = 평균 재고량 X 단위당 구매 가격 X 단위당 재고 유지비율(%)
* SKU(Stock Keeping Unit) : 재고 유지 단위란 재고관리의 상품단위로 형태, 모습, 기능 등이 동일한 품목으로 정의되고 있는 단위
안전 재고량 = 안전계수 X 수요의 표준편차 X 루트(조달기간 즉 리드타임)
* 안전계수는 서비스율이 95%(결품률 5%) 일 때 정규분포 통계 값으로 t =1.65 적용
재발주점 (ROP : Re Order Point)
재발주점(ROP)는 재고가 특정 시점으로 떨어졌을 때 공급 소요시간과 주문(수요)을 고려하여 언제 재주문을 집행하여 재고를 보충할지를 나타냅니다. ROP 값은 '조달(제조)기간 동안의 예상 수요+안전재고'의 합으로 구할 수 있으며, 발주 시기 결정 방법으로는 Two-Bin system(눈으로 보는 관리)과 연속재고 조사법(Perpetual Inventory Record System)이 있습니다. 두 방법은 재고자산처리 관점에서 보았을 때 각각 실지재고조사법과 계속기록법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재발주점 = (조달기간 X 일일 소요량) + (안전계수 X 표준편차 X 루트(조달기간))
일일소요량 = 연간 판매량 / 연간 영업일수 또는 연간 생산량 / 연간 작업일 수
6. 재고관리시스템(재고관리기법)
(1) 정량 발주법 (Fixed Order Quantity)
- 대표적인 재고관리기법으로 재고량이 일정 수준까지 내려가면 일정량을 주문
- 지속적으로 재고 수준(보유재고 + 이미 주문한 양)을 조사하여 재발주점에 다다르면 고정된 주문량을 발주하므로 연속 점검 시스템(continuous review system)이라고 함
- 대형슈퍼나 백화점 계산대에서 판매한 양을 기준으로 자동적으로 재고 수준을 계산하여 POS의 한 부분으로 인식
- 매일 일정 비율로 소비되는 가격이 싸고 조달기간이 짧은 물품에 적합
(2) 정기 발주법 (Fixed Order Period)
- 주문기간이 일정하고 주문량은 매번 변동
- 목표 재고 수준에서 현재 재고 수준을 뺀 양만큼 주문
<정량 발주법과 정기 발주법 비교>
구분 | 정량 발주법 | 정기 발주법 |
소비 금액 | 저가 물품 | 고가 물품 |
재고유지 수준 | 일정량 재고 유지 | 더 많은 안전재고 유지 |
수요 예측 | 과거 실적이 기준 | 수요 예측 필요 |
발주 시기 | 부정 | 일정 |
수주량 | 고정되어야 좋음 | 변경 가능 |
품목수 | 많아도 됨 | 적을수록 좋음 |
(3) Two-Bin 법
- 하나의 품목을 2개의 상자에 나누어 첫 번째 상자의 물품을 다 소진하면 두 번째 상자의 물품을 사용함과 동시에 주문
- 두 번째 상자의 물품을 소진하기 전에 발주한 물품이 도착해야 함
(4) ABC 분석에 의한 방법
- 물품을 A, B, C 세 그룹으로 나누어 A그룹의 물품은 세밀하고 철저히 관리하고, B, C그룹 물품은 상대적으로 간략하게 관리
- A그룹의 물품은 전체 재고가치 중에서 약 80%에 육박하지만 품목 수는 20%에 못 미치고, 반면 C그룹은 재고가치의 약 10% 내외지만 품목 수는 60%에 가까움
- 효율적 재고관리를 위해서는 금액 기준보다 출하수량이나 회수를 기준으로 ABC를 구분하는 것이 합리적
구분 | 매출액/단가 | 품목 수 | 총사용 금액 | 재고관리기법 |
A그룹 | 높음 | 10~20% | 70~80% | 정기발주법 |
B그룹 | 중간 | 20~40% | 20% | 정량발주법 |
C그룹 | 낮음 | 40~60% | 5~10% | Two-Bin법 |
7. 수요예측기법
(1) 정성적 방법
① 델파이 기법
델파이 기법(Delphi method)은 전문가의 경험적 지식을 통한 문제해결 및 미래예측을 위한 기법이다. 이 기법은 추정하려는 문제에 관한 정확한 정보가 없을 때에 "두 사람의 의견이 한 사람의 의견보다 정확하다"는 계량적 객관의 원리와 "다수의 판단이 소수의 판단보다 정확하다"는 민주적 의사결정 원리에 논리적 근거를 두고 있다.
- 전문가의 의견에 따라 미래 수요 예측
-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으나 과거 자료가 없는 경우 사용
② 시장조사법
인터뷰 또는 전화에 의한 조사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원을 활용하여 예측
③ 유추법
- 유사한 제품의 과거 자료를 활용하여 예측
-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를 거치면서 수요의 변화량을 참고하여 예측
(2) 정량적 방법
① 회귀분석 :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수요)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독립변수의 변화에 따라 수요를 예측
② 시계열 분석 :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나타난 과거 자료를 바탕으로 추세 분석을 통해 예측
③ 가중치 이동평균법 : 최근 추세에 더 큰 가중치를 부여하여 예측
④ 단순 이동평균법 : 일정 기간의 과거 자료에 동일한 가중치로 평균하여 예측
⑤ 지수 평활법 : 수요 예측량을 전기 실제 수요량과 전기 예측량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예측
수요 예측량 = (전기 실제 수요량 X 가중치) + (전기 예측량 X (1-가중치))
(3) 경제적 주문량(EOQ : Economic Order Quantity)
경제적 주문수량은 가장 경제적인 1회 주문량(총비용을 최소화하는 주문량)을 결정하는 모형으로 재고유지비용(Inventroy Carrying(holding) Cost)와 주문비용(Ordering/Setrup Cost)의 합이 최소화되는 지점의 주문 수량을 의미합니다. 즉, 재고유지비용과 주문비용이 같아지는 지점에서 경제적 주문 수량(EOQ)이 결정됩니다. 하지만 EOQ 모델이 사용되기 위해서는 몇가지 가정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실무에서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EOQ에 대해 조금 더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 단일품목으로 연간 수요량이 알려져 있고 매 기간 수요가 일정해야 함
- 주문량이 동시에 도착해야 하며 할인은 인정되지 않음
- 조달기간이 일정하고 재고 부족 현상이 없어야 함
- 재고 유지비용과 주문비용만 있어야 하며 재고 유지비는 평균 재고량에 비례함
EOQ = 루트(2 X 1회 주문비용 X 연간 수요량 / 연간 단위당 재고 유지비용)
연간 단위당 재고 유지비용 = 구매 단위당 가격 X 연간 재고 유지비율
* 연간 최적 주문 회수 = 연간 수요량 / EOQ
주문 주기 = 365일 / 주문 회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