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CM

(3)
주문생산방식이 특징인 제조기업에서 표준 ERP 솔루션도입이 더딘 이유 주문생산방식이라 하더라도 고객의 요청에 의해 제품을 신규로 설계하고, 주문받는 제품을 완벽히 표준화할 수 없으며, 자동화된 설비에 의한 반복생산 보다는 설비를 활용하거나 가공하는 숙련된 직원의 능력이 보다 중요하게 되는 등 프로세스의 혁신을 이끄는 데에 어려움이 많다. 특히 고객사의 잦은 설계/수주 변경에 의해 생산/납품일정에 큰 영향을 주는 수주생산방식의 제조기업은 업무 프로세스 또는 정보시스템을 표준화하고, 시장에서 ERP와 같은 시스템의 도입을 통해 혁신하기 어려운 환경이다. 필요 기능을 커스터마이징해야 하는 등 전사 통합, 프로세스의 혁신을 이끄는 데에 어려움이 많다. 주문생산방식 유형과 주요 업종 주문생산방식도 비즈니스 환경, 업무의 특성, 제품을 표준화할 수 있는 정도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분할..
입출고관리 입고관리 (1) 입고의 개념 입고는 발주, 작업 지시 또는 필요에 의해 정해진 보관 위치로 납품되는 절차를 말한다. 입고 관리란 지정된 보관 장소인 창고에 물품을 넣고 적치하는 입고 업무를 계획하고 통제하는 활동이다. (2) 입고업무 프로세스 및 입고활동 구매/주문 요청 : 구매계획에 따라 구매부서에서 공급 협력사에 발주 입고 통보 접수 : 발주 품목에 대한구매 부서와 협력사로부터 입고 통보 입고 계획 수립 : 입고 수량, 작업 방법, 작업 담당자, 검사 방법, 창고 적치위치 등을 계획 입하, 하차 운반 : 물품을 실은 차량이 창고로 들어온 후, 차량에서 물품을 내리는 활동으로 대기 및 작업시간 단축을 위한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 검사(검품, 검수) : 검사는 수량을 확인하는 검수와 품질을 검사하는 검품으..
창고관리 & 창고관리시스템 (WMS) 창고관리의 개념 (1) 창고의 의미 창고란 '물품을 보관하는 시설'이다. 물품의 생산공급 시점과 판매구매 시점이 다르기 때문에 창고에 재고를 두고, 고객의 구매 시점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창고 관리의 핵심은 물품의 입출고 효율, 면적 보관 효율, 체적(부피) 보관 효율을 높이면서 최소의 재고로 결품 없이 공급될 수 있도록 운영의 효율화를 꾀하는 데 있다. (2) 창고의 기능 1. 주문 출하 시 신속대응하는 서비스 기능 2. 구매 조달 시점, 생산 시점, 판매 시점의 조정 완충 기능 3. 대량 구매, 대량 생산, 대량 수송 등의 대량화에 따른 소량 공급에 대한 완충 기능 4. 집하, 분류, 재포장, 검품, 유통 가공 등 유통 판매 지원 기능 5. 성수기, 비수기, 계절적 차이 등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