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재고 조사의 종류

재고조사

창고 관리 업무에서 입출고 및 보관과 더불어 비중이 큰 업무가 재고조사입니다. 재고조사란 간단히 말해 보관되어 있는 재고의 정확한 수치(수량)를 파악하는 것인데요. 정확한 재고 수량을 파악하는 것의 목적은 3가지입니다.

 

첫째, 회계상 정확한 결산을 하기 위해서.

재고가 정확하지 않으면 정확한 결산 처리가 불가능하기에 올바른 재고 파악은 회사 경영에 있어 필수입니다.

 

둘째, 업무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재고가 있다고 생각했는데 실제로는 재고가 없다면 출하와 생산이 불가능합니다.

 

셋째, 발주 및 생산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서.

파악하고 있는 재고가 실제 수량보다 적으면 쓸데 없는 발주 및 생산을 할 수 있습니다.

 

재고가 부정확하면 발주 계산과 생산 계획, 그리고 자산 관리에 차질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재고의 정확도를 높여야 하는데 여기서 정확도란 시스템 및 전산으로 파악하는 이론재고와 창고에 있는 실제재고의 수량이 일치하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재고 차이가 생기는 원인을 파악하고,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재고조사가 필요합니다. 

 

재고조사 방법에는 크게 일제 재고조사 순환 재고조사 2가지 방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일제 재고조사 작업

분기 말에 결산을 위해 실시하는 재고조사가 있습니다다. 출하와 입하를 멈추고 일제히 수행하는 분기말 일제 재고조사입니다.
일제 재고조사는 다음과 같은 6가지 절차를 따릅니다.

 

STEP1. 입출고 정지

재고 이동이 있으면 정확한 재고조사가 어려우므로 기본적으로 재고조사 시기에는 입출고를 중단합니다.

 

STEP2. 재고조사 리스트 작성

재고 데이터를 동결하고 재고조사 리스트를 작성합니다. 리스트 작성 시 로케이션, 시스템에 기록되어 있는 이론 수량을 표시합니다.

 

STEP 3. 실제 재고조사

실물을 카운트해서 수량을 기입합니다. 이론 수량 옆에 실제 수량을 기입하도록 해서 둘의 차이를 표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STEP 4. 재고 차이 추출

재고 수에 차이가 있는 품목을 추출하고, 차이가 나는 원인을 찾아 향후 재고 정확도 향상을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원인 규명에는 시간이 걸리므로 우선은 재고조사 작업을 끝맺기 위해 다음 단계인 재고 조정을 진행합니다.

 

STEP 5. 재고 조정

기본적으로는 이론 수량이 아닌 실물 수량을 정확한 값으로 여기므로 WMS의 재고를 실물 수량에 맞도록 조정합니다.

 

STEP 6. 재고 데이터 조정

WMS 내 재고 데이터를 수정하고, 동시에 ERP 내 재고 데이터를 수정합니다.

 

2. 순환 재고조사 작업

일제 재고조사와 달리 모든 입출고를 멈추지 않고 일부 창고 로케이션만 멈춰 재고조사를 하고, 창고 전체를 1년 또는 반년에 걸쳐 조사하는 것을 순환 재고조사라고 합니다. 순환 재고조사의 절차도 일제 재고조사와 거의 같지만, 입출고를 정지하는 것은 일부 로케이션이므로 입출고가 정지된 로케이션만을 재고 조사합니다. 입출고를 정지하지 않고 입출고 작업 후 야간에 재고조사를 하기도 합니다. (순환 재고조사는 할당 작업을 마친 미출고 재고가 있기도 하므로 조사에 주의가 필요합니다.)